본문 바로가기
CCNA

CCNA -Switch 수업정리 -1일차

by 북한산산적 2009. 5. 12.
5.12일
cisco 스위치 2950장비

장비 연결 방법

하이퍼 터미널 -> com1 선택(연결대상) -> 포트설정(기본값복원"선택") -> 확인


switch>                   <------------ user 모드

switch>enable
           en

switch#                   <------------- 관리자 모드 (Privileged Mode)


switch#configure terminal     <------------  (Global configuration Mode)

4가지의 모드

유저,관리자,Global Configuration Mode,other Configuration Mode


Privileged Mode 에서 user 모드로 나올때
#disable


스위치종료
#exit


STP (Spanning Tree Protocol)

-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cisco 2950 장비는 STP가 자도으로 활성화 되어 있다

%STP의 사용 이유:: 스위치 끼리 루핑에 빠지는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default => enable

ex) sw가 3대 있고 sw끼리 3대가 연결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1. Root bridge 1대 
2. non root bridge 2대 가 된다.

네트웍 에 여러 스위치가 있는경우  root bridge를 1대 나머지 스위치는 non root bridge가 된다

3.각 segment당 Designated port 가 1개 존재

link => segment 

Root Bridge 선출
BID (Bridge ID)
=> 8Byte
=> bridge Priarity + MAC Address
           2Byte              6Byte
           32768      + MAC Address

* root Bridge 는 BID 값이 제일 작은 스위가 됨

BPUD frame 을 스위치 끼리 주고 받는다
------------
1) root BID
2) path cost
3) sender BID
4) port ID

ex) 스위치가 동시에 켜져 있을 경우 Root Bridge 는?

sw-b                                    sw-c
32768+B2B2             >             32768+C3C3

(스위치는 모든 포트가 포트ID 를 갖는다)

Root Port 결정 (Root Bridge가 아닌 non Root Bridge 는 1의 root port를 갖는다)

Path cost               ---------------        100Mbps :20 (19)        1Gbps :4                                                                                                              10Mbps :100            10Gbps :2

*Root port 란??  segment 에서 Root Bridge로 갈수 있는 최단 port


Designated port 결정

- Root Bridge는 연결된 switch 에 연결된 포트는 자동으로 Designated port가 된다 (스위치와 스위치연결에서)
- Root BID -> Path Cost -> sender BID -> portID

port 상태 

1) Disable Port      -----------    꺼져 있는상태, 고장, 관리자강제 Shutdown 
2) Blocking Port    -----------     BPDU 수신만됨, 대기시간 20초후 Listening Port로 넘어감
3) Listening Port   -----------     BPDU 수신만됨 , 15초후 Learning Port 로 넘어감
4) Learning Port    -----------     MAC 어드레스 테이블을 사용할수 있음, 15초후 Forwarding Port로 넘어감
5) Forwarding Port -----------    스위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스위치 3대를 이용한 STP 실습 
EX) 스위치 3대로 A,B,C 스위치를 구성하고 각스위치 마다 연결 한다
2,23 포트를 A,B,C 스위치로 연결 하여 1) 물리적인 연결 2) Root Bridge확인및 Blocking Port 확인
3) 정상 케이블 제거 4) Blocking port 확인

명령어 #enble -> 유저모드에서 ->관리자 모드로 넘어감
관리자 모드에서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A,B,C 의 상태를 확인한다

스위치A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스위치A의 상태를 확인 할수 있었다.
%Root ID 와 BridgeID 보면 스위치 A가 Root Bridge 임을 확인할수 있다.
Root ID와 Bridge ID 의 결과가 같고 맨아래 라인을 보면.. 1번 포트와 2번 포트가
Desg = Designated Port 로 되어 있다 
1번 port와 24번 port가 FWD  포트 상태는 Forwarding Port 로 나와있다.



스위치B


스위치 B의 연결상태를 show spanning-tree명령어로 확인해 보았다

Root ID 의 MAC Address가 스위치 A 의 MAC Address

Bridge ID 가 스위치 B 의 정보

Interface 에서 
port 3번과 port 22번 의 정보 확인
3번 Root port 상태 FWD :: Forwarding port , Cost 19 :: 100Mbps 로 연결
22번 port port 상태 BLK :: Blocking Port  22번 포트가 블로킹 port로 지정된 걸 확인할수 있다.

Blocking port 가 걸리는 포트는 아래의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1) root BID
2) path cost
3) sender BID
4) port ID

스위치 C


스위치 C의 상태를 how spanning-tree명령어로 확인

Root ID 스위치 A 의 정보임을 확인

Bridge ID 가 스위치 C의 정보

Interface 내용에서 
port 정보를 확인 할수 있다
Fa0/2         Root  ::Root port   port상태 :: FWD  Forwarding port , Cost 19 :: 100Mbps
Fa0/23       Desg  ::Designated port   FWD Forwarding port, Cost 19 :: 100Mbps 


-정상 캐이블 제거 (Blocking port 확인)

ec)스위치 A,B,C 의 연결에서 정상 연결 중인 캐이블을 제거 한다
케이블을 제거후 Root port , Designated port. Blocking Port 의 정보를 확인해 보아라
*스위치 B의 3번 포트 제거* 

스위치 A


스위치 B의 3번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제거후 스위치A 의 콘솔화면에서 
위와 같은 메세지를 확인할수 있었다.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스위치 A의 정보를 확인해 보았다
Root ID 와 Bridge ID 확인 결과 Root Bridge 스위치 A 인것을 확인할수 있다

Interface 에서 port 24번만 Designated port 로 되어있는것을 확인


스위치 B  


포트 3번 연결된 케이블 제거후 위와같은 메세지를 확인 할수 있었다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스위치 정보를 확인
포트 22번이 Blocking port 에서 상태가 Forwarding port로 바뀐것을 확인



스위치C


#show spanning-tree 명령어로 스위치 정보를 확인

스위치 C의 경우 포트 2번과 포트 23번이 똑같은 상태를 유지함을 확인

STP (Spanning Tree Protocol)?

- STP는 스위치 상에서 루프를 방지하여 이중성을 유지하는 프로토콜이다
- 루프가 일어나는 구간의 스위치들의 포트중에서 적절한 포트에 대해 Blocking 시킴으로 루프 문제를 해결